반갑습니다!
Docker 실습을 위한 기본 세팅을 진행해보겠습니다 ^^
현재 사용하고 있는 운영체제인 Windows에서도 가능하긴 하지만
가급적이면 Linux 환경이 좋기 때문에 편의상 AWS EC2 인스턴스를 프로비져닝 받아서
실습 도구로 사용해보겠습니다 ^^!
AWS EC2 인스턴스를 생성해보겠는데요
우선은 AWS에 로그인해서 콘솔로 접근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콘솔 화면에 접근했습니다
여기서 우측 상단의 리젼 선택은 항상 ap-northeast-2 서울로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저도 가끔은 이 리젼 설정을 무심코 지나칠 때가 있는데,
가끔 다른 리젼으로 설정되어있는데도 못 보고 지나쳤다가
왜 리소스가 조회가 안 되나 당황할 때가 있습니다 ^^;;
왼쪽 상단의 검색창에 EC2를 검색하면 해당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아마 처음 EC2 서비스를 이용하시는거라면 아무런 리소스도 없을겁니다 ^^
눈에 잘 보이는 인스턴스 시작버튼을 눌러서 새 인스턴스를 생성해보겠습니다!
할당 받을 인스턴스의 이름을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myserver라고 지정했습니다 ^^
이름을 입력하는 란 밑에는 해당 인스턴스의 OS를 선택할 수가 있는데요
저는 Ubunut를 사용하겠습니다 ^^
목록에서 볼 수 있다시피 Amazon Linux, Mac OS, Ubuntu, Windows 등
다양한 OS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
Ubuntu Linux 중에서 버전을 선택할 수가 있는데요
저는 22.04 버전을 선택하겠습니다
디폴트로는 아마 24.04로 선택되어 있을겁니다 ^^
선택한 운영체제, 버전 정보를 확인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그 다음에 인스턴스 유형이라고 해서 성능을 선택할 수 있는데요
디폴트로 t2.micro가 선택되어 있을거고,
프리티어에서는 t2.micro 밖에 선택 사항이 없긴합니다 ^^
그리고 다음으로는 키 페어를 발급 받아주시면 되겠습니다!
보안 및 인증에 관련된 내용인데요
이따가 원격 접속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EC2 인스턴스에 원격으로 접속할 때
해당 인스턴스의 퍼블릭 IP주소와 이 키 페어가 필요합니다 ^^
일종의 비밀번호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
키 페어 파일에 대해서 이름을 설정해주시면 되고,
유형과 파일 형식을 선택해주시면 되는데요
유형은 RSA로, 파일 포맷은 .pem으로 선택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선택을 마쳤으면 우측 하단의 키 페어 생성을 눌러주세요!
키 페어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다운로드가 진행됩니다
다운로드 경로에 가보면 위와 같이 지정한 이름으로 ,pem형식의 파일이 다운로드 되어있습니다 ^^
그 다음은 네트워크 설정과 관련된 부분인데,
디폴트 설정 외에 별도로 건드릴 부분은 없습니다 ^^
스토리지를 선택할 수 있는데요
프리티어에서는 30GB까지 무료로 지원을 해줍니다
디폴트 값이 8GB로 되어 있을건데, 만약에 무심결에 지나쳐서 8GB로 설정이 되어있다면
Docker 실습을 진행할 때 스토리지 용량이 부족해서 진행이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어차피 프리티어 무료 지원 한도가 30GB인데
해당 용량까지 지정해서 굳이 나쁠건 없겠죠 ^^?
설정 완료 후 우측 하단의 인스턴스 시작을 누르면
위와 같이 리소스 할당 작업이 시작됩니다 ^^
해당 작업이 성공하면 위 이미지와 같이 초록색 바에 성공 메세지가 출력됩니다 ^^
생성한 인스턴스에 대해서 조회해보러 가볼까요?
인스턴스 탭으로 이동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그러면 이와 같이 방금 생성된 인스턴스ID와 함께 기본적인 요약 정보들이 조회 되는데요
막 생성을 마쳤을 때에는 아직 대기 중이고, 잠시 기다리면 실행 중으로 표시가 됩니다 ^^
인스턴스 생성 후 잠시 기다리면 상기 이미지와 같이 인스턴스의 상태가 실행 중으로 표시됩니다 ^^
이번 포스트에서는
Docker 실습을 위해서 AWS EC2 인스턴스를 생성해봤습니다 ^^
해당 서비스를 이용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리소스를 할당 받기만 했을 뿐,
운영체제만 깔려있는 깡통 컴퓨터입니다 ^^
이제 사용자 임의의 설정을 위해서 원격으로 접속을 해야하는데요
다음 포스트에서는 해당 인스턴스에 원격 접속을 해보겠습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다음 포스트에서 찾아뵙겠습니다 !
'Docker > Docker 기본세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기본세팅] 6. Docker Hub 로그인 및 Docker Image 검색&다운&조회하기 (0) | 2024.08.13 |
---|---|
[Docker 기본세팅] 5. docker compose 설치하기 (0) | 2024.08.13 |
[Docker 기본세팅] 4. sudo 명령 없이 Docker 명령하기 (0) | 2024.08.13 |
[Docker 기본세팅] 3. AWS EC2인스턴스에 Docker 설치하기 (0) | 2024.08.13 |
[Docker 기본세팅] 2. AWS EC2 원격 접속하기 (0) | 2024.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