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ocker/Docker 주요 명령어 익히기9

[Docker 기본 명령어] 9. docker history / cp / diff 명령어 알아보기 반갑습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 docker history  $ docker cp  $ docker diff세 개의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먼저 $ docker history에 대해서 알아보겠는데요예시를 위해서 dockerfile을 하나 새로 만들어보겠습니다 ^^  vi 에디터로 Dockerfile-ubuntu라는 파일을 작성해보겠습니다 ^^  Dockerfile-ubunut의 내용은 예시 이미지와 같이 기재해보겠습니다 ^^저번 예시와 마찬가지로 ubuntu:18.04 버전으로 연습해보겠습니다  dockerfile 작성 완료 후,docker build를 통해 이미지 생성까지 해주세요 ^^!   이제 생성된 도커 이미지에 대해서 history를 조회해보겠습니다$ docker history .. 2024. 8. 15.
[Docker 기본 명령어] 8. docker exec, attach, 컨테이너 일괄 종료 및 삭제 명령어 사용해보기 반갑습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실행중인 컨테이너에명령 실행하는 내용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1. 실행중인 컨테이너에 명령 실행하기 : $ docker exec [옵션] [컨테이너ID 또는 이름] [명령인자]  명령어는$ docker exec -it [컨테이너ID 또는 이름] /bin/bash 또는$ docker exec -it [컨테이너ID 또는 이름] /bin/sh가 되겠습니다 ^^ alpine 태그가 붙은 것과 아닌 것의 차이는,저번 포스트에서 말씀드렸다시피 경량화가 되었는가 아닌가의 차이입니다 ^^따라서 사용하는 쉘 프로그램도 조금 다른데요 예시에서 사용하는 httpd 이미지는 디폴트 패키지로ubuntu 패키지를 사용하는데, 기본적으로 bash라는 쉘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al.. 2024. 8. 13.
[Docker 기본 명령어] 7. docker system df와 docker container stats 명령어 사용해보기 반갑습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docker가 사용하고 있는저장매체 현황에 대해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추후에 docker가 사용하는 저장매체 공간이 이슈가 될 수 있으므로,관련 명령어를 학습해둬야 하기 때문에 살펴보는 내용입니다 ^^!   $ docker system df 명령어를 사용하시면현재 docker가 사용하고 있는 저장매체의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현재 ACTIVE 상태인 이미지가 몇 개인지,이미지들의 총 SIZE는 어떻게 되는지,생성되어있는 컨테이너는 총 몇 개인지 등의 정보가 출력됩니다 ^^!    위 이미지는 docker hub에서 httpd를 검색한 뒤alpine 태그가 붙은 것들을 조회한 결과입니다 ^^ TAG 중에 alpine이라고 붙여진게 있는데요똑같은 apach.. 2024. 8. 13.
[Docker 기본 명령어] 6. docker run 명령어 중 -v 옵션 사용해보기 반갑습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docker run 옵션 중 -v 옵션을 한 번 연습해보겠습니다!-v 옵션은 호스트와 컨테이너의 디렉토리를연결해주는 옵션이라고 말씀드렸었는데요 ^^ 저번 포스트에서 -p 옵션을 통해 포트포워딩을 해줬습니다EC2 인스턴스의 9999번 포트로 들어온 데이터 패킷을컨테이너로 실행 중인 apache 웹 서버의 80번 포트로 넘겨줬죠 그래서 EC2 인스턴스의 퍼블릭 IP 주소:포트번호를 입력해서It Works! 문구가 정상적으로 출력된 것을 확인했었습니다 ^^!  이 출력되는 화면을 다른 것으로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It Works! 라는 문자열은httpd 이미지의 apache 웹 서버 기본 설정에 의해서,/usr/local/apache2/htdocs 폴더에 있는 index.ht.. 2024. 8. 13.
[Docker 기본 명령어] 5. docker run의 -p 옵션과 컨테이너로 웹 서버 apache 사용해보기 반갑습니다!  docker run 명령어에 조금은 익숙해졌으니,웹서버를 docker run으로 구동시키면서 조금 더 심화하며 연습해보겠습니다 ^^  웹서버에는 크게 두 가지 프로그램이 많이 사용되는데요apache와 nginx입니다 ^^이번에는 apache 웹 서버를 docker로 구동해보면서docker run의 사용 예와 관련 옵션을 더 이해해보겠습니다 !    이번에는 apache 웹 서버 이미지를 가지고 연습해보겠습니다$ docker search httpd 명령어를 입력하니 공식 이미지가 보입니다 ^^!   이전에 사용한 방법으로는 $ docker pull http 명령어를 통해 이미지를 다운 받은 다음에$ docker run [이미지 이름]으로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실행했죠?    근데 사실 $ do.. 2024. 8. 13.
[Docker 기본 명령어] 4. docker pause, unpause, stop, restart 명령어 사용해보기 반갑습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 docker run과 관련된 명령어 중docker pause, unpause, stop, restart 네 가지를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 docker stop [컨테이너ID 또는 이름] 명령어를 동작하면실행 중이던 해당 컨테이너가 종료 상태가 됩니다 ^^     도커를 아예 중지시키는건 stop이고,잠시 일시중지 시키는건 $ docker pause [컨테이너ID 또는 이름] 명령어가 되겠습니다 ^^STATUS를 확인해보니 Up 상태이므로 살아있지만,(Paused)라고 표시되어 동작이 일시 중지된 것을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 docker unpause [컨테이너ID 또는 이름] 명령어를 입력하면pause 상태의 컨테이너를 다시 실행 시킬 수 있습니다 ^.. 2024. 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