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ocker/Docker 주요 명령어 익히기

[Docker 기본 명령어] 7. docker system df와 docker container stats 명령어 사용해보기

by Fletcher 2024. 8. 13.

 

반갑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docker가 사용하고 있는

저장매체 현황에 대해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추후에 docker가 사용하는 저장매체 공간이 이슈가 될 수 있으므로,

관련 명령어를 학습해둬야 하기 때문에 살펴보는 내용입니다 ^^!

 

 

 

$ docker system df 명령어를 사용하시면

현재 docker가 사용하고 있는 저장매체의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현재 ACTIVE 상태인 이미지가 몇 개인지,

이미지들의 총 SIZE는 어떻게 되는지,

생성되어있는 컨테이너는 총 몇 개인지 등의 정보가 출력됩니다 ^^!

 

 

 

 

위 이미지는 docker hub에서 httpd를 검색한 뒤

alpine 태그가 붙은 것들을 조회한 결과입니다 ^^

 

TAG 중에 alpine이라고 붙여진게 있는데요

똑같은 apache 웹 서버 이미지이지만,

alpine의 경우에는 구동을 위한 최소한의 것만 모아놓은 리눅스 패키지입니다 ^^

 

리눅스 사용시 다양한 기능을 가진 ubuntu 등의 리눅스 패키지를 사용하지만,

docker 컨테이너의 경우에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 실행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리눅스의 다양한 기능들을 모두 포함할 필요가 없습니다

 

동일한 기능을 한다면 도커 이미지 및 컨테이너는 사이즈가 작으면 작을수록 좋죠 ^^

 

alpine은 musl libc라는 임베디드 리눅스를 위한 C/POSIX library와

BusyBox라는, 운영체제 운영에 필요한 가장 기본이 되는 유틸리티만 모아놓은 리눅스 패키지이기 때문에

경량화 되어 차지하는 용량이 훨씬 적다는 강력한 이점이 있습니다 ^^!

 

이번에는 동일한 httpd 이미지이지만 tag가 alpine인 이미지를 다운 받아서

다시 apache 웹 서버를 컨테이너로 구동시켜보겠습니다 ^^!

 

 

 

명령어는 동일합니다!

다만 이미지 부분에서 태그 부분에 alpine을 추가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현재 이미지 사이즈가 289MB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데요

 

 

 

아까 alpine이 아닌 그냥 latest 아파치 이미지를 다운 받았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

apache:latest를 삭제하면 용량이 굉장히 줄어드는걸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 docker container stats 명령어를 사용하면

실행중인 컨테이너의 사용 중인 리소스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foreground 환경에서 실행되므로,

조회가 끝나면 Ctrl+C를 눌러서 종료해주시고

명령어 입력을 위해 다시 프롬프트로 돌아오시면 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