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사용자·시스템 정보&관리

[Linux 사용자&시스템 관리] 1. $ date와 $ cal 이용하여 현재 시각 표시 및 달력 표시하기

by Fletcher 2024. 8. 13.

 

반갑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 date 명령어를 이용하여서 현재 시각을 표시하고 변경해보며

$ cal 명령어를 사용하여서 달력을 표시해보겠습니다 ^^

 

 

 

 

1. 현재 시각 표시하기 : $ date

 

프롬프트에 $ date 명령어를 입력하시면

현재 연월일시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

 

해당 시각은 UTC 기준이므로 Local 타임으로 변환해서 생각해야 하는데요

Asia/Seoul은 UTC 시각에 +09:00를 계산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현재 시스템 시각을 변경할 수도 있을까요?

당연히 $ date 명령어를 이용하여 인자를 넣어주면 가능한데요 ^^

단, 이 때는 root 관리자 권한으로 로그인을 해야 명령이 가능합니다

 

 

 

저는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root 관리자 권한으로 접속한 적이 한 번도 없는데요

따라서 별도의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전에는 접근이 불가능합니다 ^^;;

 

$ sudo passwd root 명령어를 사용하면 root 관리자의 password를 설정할 수 있는데요

위 캡쳐 이미지와 같이 본인 임의의 비밀번호를 두 번 입력해주시면 설정이 완료됩니다 ^^

입력한 비밀번호가 화면에 출력되지 않으니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프롬프트에 $ su 명령어를 입력하면 접근할 수 있는데요

이 때, 기존에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프롬프트 기호가 $에서 #로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만약 일반 사용자로 돌아가려면 $ exit 명령어를 입력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이제 root 관리자 권한으로 $ date 명령어를 이용해서 시스템 시각을 변경해볼까요?

$ date 명령어 뒤에 인자로 월, 일, 시, 분, 연 정보를 차례대로 공백 및 기타 문자로 구분하지 않고

나열하여 기입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081912082024 -> 8월 19일 12시 8분 2024년 입니다!

 

 

해당 명령어의 주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u

협정 세계시(UTC)를 표시합니다

한국 표준시(KST)는 UTC 시각에 9시간을 더하면 됩니다

 

 

 

 

 

 

 

2. 달력 표시하기 : $ cal

 

EC2 인스턴스에는 기본적으로 cal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겁니다 ^^

$ sudo apt-get install ncal 명령어를 이용하여 해당 패키지를 설치해주시면 되겠습니다

 

 

 

프롬프트에 $ cal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연, 월에 해당하는 캘린더가 화면에 출력됩니다 ^^

그리고 특정 연, 월을 지정하고 싶으면 $ cal 명령어 뒤에 인자로 붙여주시면 되는데요

$ cal month year 순으로 넣어주시면 되겠습니다!

 

캡쳐 이미지에서 2024년 8월의 달력과 2024년 5월의 달력에 대한 조회 결과가

화면에 출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

 

 

해당 명령어의 주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y

올해 달력을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