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 whoami와 $ groups, $ id 명령어를 사용하여
사용자명, 소속 그룹, 상세 정보 등을 조회해보겠습니다 ^^
1. 사용자명 표시하기 : $ whoami
$ whoami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사용자의 사용자명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일반사용자로 한 번 조회했고, root 관리자로 접속해서 한 번 조회했습니다 ^^
상기 캡쳐 이미지와 같이 각각 ubuntu, root 사용자명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겠습니다
2. 소속 그룹 표시하기 : $ groups
이번에는 $ groups 명령어를 사용하여서
각 사용자에 대한 소속 그룹을 조회하였습니다 ^^
저는 Docker 실습을 위해서 특정 작업을 했었기 때문에
일반 유저로 그룹 조회시 위와 같이 여러 내용들이 출력됩니다 ^^
root 관리자 권한으로 접속해서 그룹을 조회하니
root 그룹 하나 뿐인 것을 볼 수 있겠습니다!
3. 상세정보 표시하기 : $ id
$ id 명령어를 사용하면
$ whoami 또는 $ groups 명령어보다 더 상세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데요
id 명령어를 인수 없이 실행하면
자신의 사용자 ID(사용자명), 그룹ID(그룹명), 소속된 그룹 ID(그룹명)를 출력합니다 ^^
실행 결과에 있는 uid는 사용자ID(User ID)로서, 시스템이 각 사용자에게 발급한 번호입니다
이 번호는 다른 사용자와 겹치지 않는 고유한 값입니다 ^^
gid는 그룹ID(Group ID)이며 자신이 속한 그룹 번호를 표시합니다
자신이 작성한 파일이나 디렉토리에는 이 그룹ID가 기본적으로 지정됩니다 ^^
그리고 소속 그룹은 자신이 소속된 모든 그룹ID가 출력됩니다
id 명령어의 주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G
소속 그룹 ID만 표시합니다
② -g
그룹 ID만 표시합니다
③ -u
사용자 ID만 표시합니다
④ -n
다른 옵션과 함께 사용하면 ID가 아니라 이름으로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