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 last 명령어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로그인 이력을 표시하고
$ uptime 명령어를 이용하여 시스템 가동 시간을 표시하고,
$ uname 명령어를 통하여 시스템의 정보까지 표시해보겠습니다 ^^
1. 사용자의 로그인 이력 표시하기 : $ last
시스템에 어떤 사용자가 언제 로그인해서
얼마나 사용했는지와 같은 정보를 로그인 이력이라고 합니다 ^^
로그인 이력을 표시하려면 $ last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
프롬프트에 $ last 명령어를 사용하여 조회해보았습니다
여러 IP 주소에서의 접속 기록이 나오는데요
사실 모든 기록들 다 제가 각기 다른 장소에서 로그인한 이력입니다 ^^
ubuntu라는 사용자로만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사용자 이력에 대해서는 조회되지 않지만
만약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여러 사람이 각기 접속해서 작업을 했다면
로그에 조회되는 사용자명도 다 달랐겠죠? ^^
보시는 바와 같이 $ last 명령어는 로그인한 사용자, 로그인 시각, 로그아웃 시각 등을 표시합니다
그리고 시스템 재부팅 시각, 셧다운 시각, 런레벨 변화 시각 같은 정보를
각각 가상 사용자인 reboot, shutdown, runlevel로 표시합니다 ^^
런레벨runlevel은, 시스템이 어떤 상태인지 나타내는 값으로서
0은 시스템 정지(셧다운) 상태, 1은 싱글 유저 모드 상태,
6은 시스템 다시 시작(리부트) 상태입니다
보통은 런레벨 5로 동작합니다 ^^
해당 명령어의 주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n
n행 분량의 로그인 이력을 표시합니다
② -x
런레벨 변경을 표시합니다
2. 시스템 가동 시간 표시하기 : $ uptime
시스템 가동 시간은, 시스템을 부팅하고 나서 얼마나 오랜 시간이 지났는지에 대한 정보입니다 ^^
위와 같이 $ uptime 명령어를 사용하면 해당 정보에 대해서 조회할 수 있는데요
출력된 결과는 왼쪽부터 순서대로
현재 시각, 가동 시간, 로그인 사용자 수, 평균 부하에 대한 정보가 되겠습니다 ^^!
평균 부하load average는 시스템에 얼마나 부하가 걸리는지
곧, 시스템이 얼마나 많은 일을 하고 있는지를 의미하는 지표입니다
숫자가 세 개가 표시되는데요
왼쪽부터 차례대로 1분간, 5분간, 15분간 평균 부하 값을 계산하여 출력합니다 ^^
-p 옵션을 사용하면 시스템이 가동된 시간을 표시합니다
캡쳐 이미지를 살펴보면 3일하고 3시간 56분째 가동 중이네요
제가 사흘 전에 EC2 인스턴스를 다시 생성했으니까 정확합니다 ^^
해당 명령어의 주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p
가동 시간만 표시합니다
② -s
시스템을 시작한 시각만 표시합니다
3. 시스템 정보 표시하기 : $ uname
시스템 정보, OS 릴리스 번호, 하드웨어 정보 등을 조회하려면 $ uname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
아무런 인자 없이 사용하면 현재 가동 중인 시스템명을 표시하는데요
해당 Linux 배포판이 ubuntu이니 가동 중인 시스템명은 당연히 Linux입니다 ^^
-a 옵션을 사용하면 시스템명 외에도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데요
왼쪽부터 차례대로,
시스템명, 호스트명, OS 릴리스 번호, 커널 컴파일 정보, 머신 타입,
프로세서 타입, 하드웨어 플랫폼 ,OS 정보가 나열되어 출력됩니다 ^^
해당 명령어의 주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n
호스트명을 표시합니다
② -r
OS 릴리스 번호를 표시합니다
③ -v
커널 컴파일 정보를 표시합니다
④ -m
머신 타입을 표시합니다
⑤ -p
프로세서 타입을 표시합니다
⑥ -a
모든 정보를 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