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에 따라서 AWS 웹페이지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조금씩 변하므로,
조회하시는 시간과 본 포스트 작성의 시간적 격차가 있는 경우
해당 설명과 상이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반갑습니다.
저번 포스트에서 AWS IAM 사용자 생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RDS(데이터베이스)는 serverless 배포와 직접적으로는 관련 없지만,
서버를 구축하는데에 데이터베이스가 없어서는 말이 안 되겠죠?
그리고 데이터베이스가 있더라도 로컬 환경이라면 아무 의미가 없을겁니다.
해서 오늘은 AWS RDS와 MySQL을 이용해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해보겠습니다.
AWS 로그인 후 Console창에 접근해주세요
검색창에 RDS를 검색해주시면 목록에 해당 서비스가 나타납니다!
클릭해서 해당 서비스에 접근해주세요
이 글을 보시는 분들께서는 인터페이스가 조금 다를 수도 있는데
처음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시는거니까 어찌됐건 "데이터베이스 생성" 버튼을 찾아서 클릭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우측 상단 또는, 보시는 바와 같이 화면 중앙에 오렌지색 버튼으로 되어 있을겁니다!
본격적으로 AWS RDS 서비스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화면입니다!
저는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MySQL로 설정하겠습니다!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때 설정 옵션들이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Default로 둘 것들은 패스하고, 건드릴 부분만 이미지로 첨부하겠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선택하신 후에 이제 템플릿을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본 글에서는 학습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굳이 비싼 과금이 되는 것들 말고 "프리 티어"로 선택했습니다!
설정 부분에서 데이터베이스의 이름을 지어주시면 되겠습니다.
저는 "instructor"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자격 증명 관리에서 저는 "자체 관리"를 선택했는데요
이 부분에서 본인이 설정한 "마스터 사용자 이름", "마스터 암호"를 꼭 기억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따가 MySQL에 연결할 때 필요한 부분이거든요!
참고로 마스터 사용자 이름 default 값이 admin인데요.
여러분들 임의대로 지으셔도 상관 없습니다!
프리티어로 이용하시면, 그 밑에 인스턴스 구성도 딱히 건드리실건 없으십니다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에 관련된 부분인데요. 드롭다운 메뉴를 선택하시면 여러가지 선택지가 있습니다.
실무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성능을 선택해서 사용하겠죠?
우리는 default 값 대로 db.t3.micro를 사용하겠습니다!
스토리지 부분도 해당 데이터베이스 성능에 관련된 부분입니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니까, 얼만큼 저장할 수 있는지 용량이 또한 중요한 부분이겠죠?
"할당된 스토리지 값"에서 20이 default이고, 우리 프리티어를 위한 상한선입니다!
이 부분도 건드리실 부분은 없으십니다!
이 부분도 딱히 별도로 설정할 필요는 없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도 건드릴 부분이 없는데요!
이 보안 그룹 관련해서 이따가 인바운드 규칙 설정할 것이 있습니다.
그냥 default로 두셔도 되고, 새 VPC 보안 그룹을 생성하셔도 됩니다!
새 보안 그룹을 생성하셨다면, 이따가 규칙 설정할 때 해당 보안 그룹의 인바운드 규칙을 설정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본인이 설정한 것들에 대해서 일정 기간동안 어느 정도의 요금이 첨부되겠는가에 대해서
"Estimated Monthly Costs"으로 추산해주는데요.
여러분들은 0 USD이실 수도 있고 저랑 비슷한 요금이실 수도 있겠습니다.
IPV4 관련해서 2024년 상반기부터 프리티어라도 과금이 발생하는 부분이 있게되는데요.
학습 목적의 프리티어 유저에게는 일정 범위 내에서
해당 리소스 또는 인스턴스 자체에 대해서는 과금이 되지 않지만,
IP자원 이용에 대해서는 공통적으로 과금이 되는 부분이 생겼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생성에 대해서도 IPV4 과금인지, 제가 프리티어 관련해서 문제가 있는건지 잘 모르겠는데
어쨌든 과금이 발생한다면 학습용으로만 조금 이용하시고
바로 리소스를 삭제해서 불의의 사태를 방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어쨌건 여기까지 잘 설정을 마치시고 페이지 하단의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그럼 데이터베이스가 생성 중인 것을 보실 수 있겠습니다.
잠시 기다리시면 데이터베이스가 성공적으로 생성 되어서 이용하실 수 있게 되실겁니다!
이상으로 RDS 생성하기 1편을 줄이고,
곧바로 다음 2편에서 MySQL과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AWS > AWS 서비스 사용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CloudWatch 이용하기 (0) | 2024.07.06 |
---|---|
AWS Lambda 생성하기 (0) | 2024.07.05 |
AWS S3 생성하기 (0) | 2024.07.05 |
AWS RDS 생성하는 방법과 MySQL 연동하기-2 (0) | 2024.07.05 |
AWS IAM 사용자 생성하기 (0) | 2024.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