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에 따라서 AWS 웹페이지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조금씩 변하므로,
조회하시는 시간과 본 포스트 작성의 시간적 격차가 있는 경우
해당 설명과 상이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반갑습니다.
저번 포스트에서 AWS RDS 생성하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전편에 이어 이제 MySQL과 연결해보겠습니다!
저번 포스트에서 중요한 부분을 미리 말씀드렸었는데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때 "마스터 사용자 이름", "마스터 암호" 부분을 꼭 기억해달라고 말씀드렸었습니다!
이 두가지와 함께 오늘 준비물로서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엔드포인트"주소도 필요하겠습니다!
준비물을 챙기러 다시 AWS로 가볼까요?
이제는 익숙해진 AWS Console화면입니다!
여기서 앞서 설명드린대로 "검색"을 이용하셔도 되고,
한 번 서비스에 접근했었으면 왼쪽 상단에 "최근에 방문한 서비스" 메뉴의 목록에 RDS가 나올겁니다
두 가지 중 아무 방법으로 RDS 서비스 화면에 접근해주세요!
혹시 화면 좌측 상단의 "검색"을 이용하신다면 RDS를 검색해주시고 클릭해주시면 되겠습니다!
RDS 대시보드 화면입니다!
좌측 여러 메뉴들 중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해주셔도 되겠고,
리소스 화면에서 "DB 인스턴스"를 클릭하셔도 되겠습니다!
현재 본인 계정에서 생성되어 있는 리소스가 무엇무엇이 있는지 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생성하신 데이터베이스를 클릭해서 정보 화면으로 넘어가보겠습니다!
저는 "instructor"라는 이름으로 리소스를 생성했었습니다!
해당 인스턴스에 대해 여러가지 정보들이 표시가 됩니다!
여기서 우리가 가져갈 정보는 바로 "엔드포인트"가 되겠습니다!
엔드포인트 정보를 복사해주세요!
갑자기 화면이 바뀌었죠?
MySQL Workbench를 실행한 홈 화면입니다!
MySQL과 연동하기 위해서 여러분들도 Workbench를 실행해주세요!
그리고 화면 중앙 좌측쯤의 "MySQL Connections" 부분의 우측에
"추가", "설정"과 관련된 두 가지 아이콘이 있습니다.
추가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럼 Setup New Connection이라는 창이 나올겁니다!
여기서 "엔드포인트", "마스터 사용자 이름", "마스터 암호" 세 가지 준비물이 사용됩니다!
1. 제일 먼저 커넥션창 상단의 Connection Name을 설정해주세요
여러분들 임의의 문자열로 지정해주시면 되겠습니다!
2. 그 다음 Hostname 부분에 아까 복사해둔, 인스턴스의 엔드포인트를 붙여넣기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3. 그리고 Username 부분에, 인스턴스 생성시 설정한 "마스터 사용자 이름"을 기입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저는 default 값인 "admin"으로 했었습니다!
그럼 오류 메세지가 뜰겁니다!
저는 다른 오류메세지이지만, 어쨌건 연결이 안 되실겁니다
저번 포스트에서 잠깐 말씀드렸었는데, 우린 3306 포트에 대해서 인바운드 규칙을 설정하지 않았거든요
그래서 네트워크 접근이 거부되기에 오류가 생길겁니다!
우리 인바운드 규칙을 설정하러 가겠습니다!
AWS 로그인 -> Console -> RDS -> 해당 인스턴스 정보창으로 접근하셔서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시면 보안 그룹 규칙 관련된 탭이 있을겁니다!
여기서 유형을 보시면 보안 그룹, 유형들이 있죠?
유형이 CIDR/IP - Inbound로 되어있는 보안그룹을 클릭해주세요!
그럼 해당 보안 그룹으로 접근할 수 있을겁니다.
저는 default 보안그룹을 사용했기에 별도의 보안 그룹이 없는데요!
만약에 RDS 인스턴스 생성시 새 보안 그룹을 생성하셨으면 해당 보안그룹을 클릭해서 접근하시면 되겠습니다!
이 화면에서 화면 우측쯤의 "인바운드 규칙 편집"을 클릭해주세요!
그리고 화면 좌측의 "규칙 추가"를 클릭해주시면 보안 그룹 규칙 ID가 새로 생성되는데요
유형은 MySQL/Aurora로 해주시고, 포트 범위는 3306, 소스는 사용자 지정,
접근할 수 있는 IP는 모두에게 즉, 0.0.0.0/0으로 지정해주시고 화면 우측의 "규칙 저장"을 눌러주시면 되겠습니다!
다시 Workbench로 돌아와서 커넥션 창 우측 하단의 Test Connection을 클릭해주시면
연결을 위해서 패스워드를 요구할겁니다!
아까 RDS 인스턴스 생성할 때 "마스터 암호" 기억하시죠?
그대로 붙여넣기 해주시고 "OK"버튼을 눌러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이렇게 성공적으로 연결됐다는 메세지가 출력될겁니다!
새로 생성하신 Connection이 위와 같은 모습들로 홈 화면에 나타날겁니다!
해당 커넥션을 선택하시면 해당 user로 접근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커넥션 선택 후 화면 예시입니다
이 예시에서는 Local Admin으로 접속했습니다
처음 생성하셨다면 화면 좌측의 SCHEMAS 탭을 보시면 아마 별다른 목록들이 없을겁니다! 쿼리 화면도 마찬가지구요!
앞으로 우리의 앞날처럼 점점 무언가 복잡하게 쌓여가겠죠? 모두 힘내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AWS RDS 인스턴스 생성을 마치고,
이어지는 다음 편에서는 AWS S3를 이용해 스토리지 인스턴스를 생성해보겠습니다!
AWS S3 또한 serverless를 이용한 서버 배포 방법과 직접적으로 연관성은 없지만,
스토리지 없는 서비스는 또한 생각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텍스트, 숫자와 관련된 정보들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이 되고,
이미지나 동영상 같은 파일들은 스토리지에 저장되기 때문입니다!
다음 포스트로 찾아뵙겠습니다!
'AWS > AWS 서비스 사용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CloudWatch 이용하기 (0) | 2024.07.06 |
---|---|
AWS Lambda 생성하기 (0) | 2024.07.05 |
AWS S3 생성하기 (0) | 2024.07.05 |
AWS RDS 생성하는 방법과 MySQL 연동하기-1 (0) | 2024.07.05 |
AWS IAM 사용자 생성하기 (0) | 2024.07.05 |